이전 프로젝트에서는 react-hook-form만 사용했는데, 이번에는 yup까지 같이 사용하게 됐다. 이전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현업에 종사하시는 멘토님께서 실무를 할때 react-hook-form과 yup을 같이 사용한다고 했기에 좋은 경험이 될거라 생각했다. react-hook-form을 사용하는 이유 이전까지 모든 state를 직접 만들고, onchange함수도 일일히 만들어 바인딩해주는 등 노가다성 코딩을 했다. 이부분을 폼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더이상 노가다성 코딩을 하지 않아도 되며 굉장히 간편하다. 이전에 사용하던 onchange를 만들어 setState를 해주고 바인딩 하는 방법은 state가 변화할때마다 렌더링이 되기때문에 불필요한 렌더링이 지속적으로 일어나 굉장히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
effect 함수에서 사용하는 "모든 것"을 종속성으로 추가해야 힌다. 즉, 거기에서 사용하는 모든 상태 변수와 함수를 포함한다. 맞는 말이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 다음 사항을 알고 있어야 한다. 여러분은 상태 업데이트 기능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setState : React는 해당 함수가 절대 변경되지 않도록 보장하므로 종속성으로 추가할 필요가 없다. "내장" API 또는 함수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fetch(), 나 localStorage 같은 것들 (브라우저에 내장된 함수 및 기능, 따라서 전역적으로 사용 가능): 이러한 브라우저 API/전역 기능은 React 구성 요소 렌더링 주기와 관련이 없으며 변경되지 않는다 또한 변수나 함수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아마도 구성 요소 외부에서 정의했을 것..
1. 브라우저가 URL을 해석/파싱한다.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 https : 프로토콜 - www.naver.com : Domain Name - 443 : Port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인지, 어떤 URL로 서버에 요청을 보낼 것인지, 어떤 포트번호로 요청할 것인지 해석하는 과정이 이루어 진다. 2. URL이 문법에 맞으면 Punycode encoding을 URL의 HOST 부분에 적용한다. 3. HSTS(HTTP Strict Transport Security)목록을 로드해서 확인한다. http 연결을 거쳐서 https로 전환되는 과정은 쿠키 탈취 등 보안상 안전하지 못하기때문에, https 를 클라이언트에게 강제하도록 하기위해 HSTS를 사용한다. 브라우저는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4065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코드 function solution(s) { var answer = []; let map = new Map(); // s를 각 요소 배열의 원소 개수 순으로 정렬하기 // s.sort((a,b)=>a.length-b.length); // console.log(s) s = s.replaceAll('{','') s = s.replaceAll('}','') s = s.split(',') // 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