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TIL
작년 2월 19일에 인턴으로 들어가서, 한달 넘게 수습을 거치고 4월부터 정규직으로 근무하기 시작했다.수습 기간까지 포함하면 1년 1개월 남짓 근무 하고 있다.입사 전부터 진행 중이던 프로젝트에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투입이 됐고, 프로젝트가 출시를 앞두고 있어서 바쁘게 달리고 있다 🏃‍♀️ 입사 이후 몇달동안은 나름 시간 여유가 있어서 회사에서 코드 리뷰(?) 하면서, 동료들의 코드를 보고내 코드에 대한 피드백을 받으면서 배우기도 했었는데, 지금은 출시를 앞두고 있어서 하루하루 처리하기 급급한 상황이다. 그래도 이제부터는 알고리즘도 꾸준히 풀어보려고 하고, 올 초에 등록해둔 방통대 컴공 과목들도 들을 것이다이렇게 미래 대비적인 행동을 하는 이유는, 좀 더 발전하고 싶은 개인적인 욕심이 있다 지금 다니는 ..
· TIL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데스크탑 웹에서 정상적으로 보이는 화면이 태블릿 웹에서 깨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vh 단위를 사용해서 총 높이를 100vh로 설정을 했는데, 100vh는 태블릿 브라우저의 상단 탭과 브라우저, 일부 태블릿에서는 하단 네비게이션 바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적용했다. 모바일 스크린 문제 해결 const setScreenSize = () => { let vh = window.innerHeight * 0.01; document.documentElement.style.setProperty("--vh", ${vh}px); }; setScreenSize(); window.addEventListener("resize", () => setSc..
· TIL
현재 start 스크립트에 set HTTPS=true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설정을 유지하면서 포트를 3001번으로 변경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하세요: json "scripts": { "start": "set HTTPS=true&&set PORT=3001&&react-scripts start", "build": "react-scripts build", "test": "react-scripts test", "eject": "react-scripts eject" } 위의 설정에서 set PORT=3001 부분이 애플리케이션을 3001번 포트에서 실행하도록 설정합니다. 이제 npm start나 yarn start를 실행하면 애플리케이션은 HTTPS 모드로 3001번 포트에서 시작됩니다. 단, 이 방법은 Wi..
· TIL
forwardRef()란?React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prop이 몇 가지 있다. 그 중 ref prop도 HTML Element 접근이라는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prop으로 사용할 수 없다.React Component에서 ref prop을 사용하려면 forwardRef()라는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React Component를 forwardRef() 함수로 감싸주면, 컴포넌트 함수는 2번째 매개변수를 갖게 되는데 이를 통해 ref prop을 넘길 수 있다.import { useRef } from "react"; const Input = ref => { return ; }; const Field = () => { const inputRef = useRef(null); con..
nana-log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