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산자
&&연산자
는 앞의 값이 참일 경우에만 뒤의 값을 보여주었는데, 반대로 앞의 값이 거짓일때 뒤의 값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Nullish 연산자라 불립니다.
??연산자
는 앞의 값이 빈 값이면 뒤의 값을 보여주며 ||연산자
는 앞의 값이 거짓(false)일 경우 뒤의 값을 보여줍니다.
객체의 성질
중복된 키가 있으면 마지막이 위에껄 덮어쓴다.
const onChangeInputs = (event) => {
setInputs({
...inputs,
[event.target.id] : event.target.value
})
}
const onChangeInputs = (event) => {
setInputs((prev)=>({
...prev,
[event.target.id] : event.target.value
}))
}
위와 아래는 동일한데,
안정성,유지보수 등을 위해
가급적 기존값 가져와서 하는게 좋다
바로 위 코드는
const onChangeInputs = (event) => {
setInputs((prev)=>{
return {
...prev,
[event.target.id] : event.target.value
}})
}
이것과 동일하다
화살표함수에서
중괄호 리턴 사이 아무것도 없으면 소괄호로 대체 가능
const onClickSubmit = async () => {
const result = await 나의함수({
variables: {
writer: inputs.writer,
title: inputs.title,
contents: inputs.contents,
},
})
console.log(result)
}
const onClickSubmit = async () => {
const result = await 나의함수({
variables: { ...inputs },
})
console.log(result)
}
두개는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