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5. 인터페이스 구현
Section 1. 인터페이스 개요
1. 인터페이스 시스템
⑴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개념
- 서로 다른 시스템, 장치 사이에서 정보나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시스템
⑵ 인터페이스 시스템 구성
① 송신 시스템
- 연계할 데이터를 생성하여, 연계 테이블 또는 파일 형태로 송신하는 시스템
■ 단계별 작업
- 연계 데이터 생성 및 추출
-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 인터페이스 테이블 / 파일 생성
- 로그 기록
- 데이터 전송
② 수신 시스템
-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형식에 맞게 저장하고 활용하는 시스템
■ 단계별 작업
- 데이터 수신
- 코드 매핑 및 데이터 변환
- 로그 기록
- 연계 데이터 반영
③ 중계 서버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송수신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
- 연계 데이터의 보안 강화 및 다중 플랫폼 지원 등이 가능
2. 연계 시스템 분류와 데이터 식별
⑴ 시스템 분류 체계
- 기업 내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대내외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식별자를 정의
- 기업이 수행하는 업무를 대,중,소로 파악하여 상위 시스템과 하위 시스템을 구분
- 업무를 기준으로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식별 코드를 부여
⑵ 연계 시스템 식별 정보
대내외 구분 정보
- 기업 내부 시스템인지 외부 기관 시스템인지 구분
기관명
- 대외 기관일 경우 기관명을 기술
시스템 ID
- 시스템 분류 체계에 따라 부여된 식별 번호
한글명
- 시스템 한글명
영문명
- 시스템 영문명(영문 코드)
시스템 설명
- 시스템에 대한 업무, 위치 등에 대한 부가 정보
시스템 위치
- 시스템이 설치된 위치(노드) 정보
네트워크 특성
- 네트워크 속도, 대역폭, 유의 사항 등 네트워크 특성
전용 회선 정보
- 전용 회선을 사용할 경우 전용 회선 연결 방법과 속도 등의 정보
IP/URL
- 시스템 접속에 필요한 IP 또는 URL 정보
Port
- 접속에 필요한 Port 정보
Login 정보
- 시스템 로그인 ID와 암호
DB 정보
-
데이터베이스 연계 시 필요한 DBMS 유형, DBMS 로그인 정보
담당자 정보
- 해당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담당자 연락처
⑶ 송수신 데이터 식별
- 송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는 규격화된 표준 형식에 따라 전송
- 인터페이스 설계 단계에서는 송수신 시스템 간에 전송되는 표준 항목과 업무 처리용
데이터 및 공통 코드 정보 등을 누락 없이 식별하고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작성
■ 송수신 전문 구성
구성
설명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을 포함
전문 공통부
- 인터페이스 ID, 서비스 코드, 접속 IP 등
전문 개별부
- 업무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
전문 종료부
- 전송 데이터의 끝을 표시하는 문자 포함
Section 2. 인터페이스 설계서 확인
1. 인터페이스 설계서 구성
⑴ 인터페이스 목록
- 연계 업무와 연계에 참여하는 송수신 시스템의 정보, 연계 방식과 통신 유형 등에 대한 정보
■ 주요 항목
주요 항목
설명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
인터페이스명
- 인터페이스의 목적을 나타내는 이름
송신 시스템
-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수신 시스템
-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시스템
대내외 구분
- 인터페이스가 기업 내부 시스템 간 또는 내�
외부 시스템 간에 발생하는지 여부
연계 방식
- 웹 서비스, FTP, DB Link, Socket 등 아키텍처에서 정의한 인터페이스 방식
- 동기(Request-Reply), 비동기(Send-Receive, Send-Receive-Acknowledge, Publish 통신 유형
Subscribe) 등 아키텍처에서 정의한 통신 유형
- 실시간, 배치, 지연 처리 등 인터페이스 처리 유형
처리 유형
- 처리 유형이 실시간인 경우 수시, 그 외 상세 주기를 표시(매일 오전 10시, 매시 10분)
주기
- 인터페이스가 발생하는 주기
데이터 형식
- 고정 길이, XML 등 인터페이스 항목의 데이터 포맷
관련 요구 사항 ID
- 해당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요구 사항 식별 정보
⑵ 인터페이스 정의서
- 데이터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저장소와 속성 등의 상세 내역을 포함
■ 주요 항목
주요 항목
설명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
최대 처리 횟수
- 단위 시간당 처리될 수 있는 해당 인터페이스 최대 수행 건수
데이터 크기(평균/최대)
- 해당 인터페이스 1회 처리 시 소요되는 데이터의 평균 크기와 최대 크기
시스템 정보
- 시스템명, 업무, 서비스 명, 연계방식, 담당자/연락처
데이터 정보
- 번호, 필드, 식별자 여부, 데이터 타입, 크기, 설명 등
⑶ 인터페이스 설계서 명세화
- 인터페이스 설계 가이드와 인터페이스 설계서 작성 양식을 준비
- 분석 단계에서 정의된 정보를 인터페이스 목록 양식에 맞춰 작성
- 인터페이스 정의서 작성 양식에 맞춰 송수신 시스템의 정보를 각각 작성
- 인터페이스 식별 당시 작성한 서비스의 프로그램 명세서를 확인하고 보완이 필요한 경우 수정
- 인터페이스 설계서 작성 양식에 맞춰 송수신 데이터 항목 상세를 작성
- 송수신 시스템 간의 코드 변환을 위한 코드 매핑 규칙을 인터페이스 정의서에 작성하고 코드 매핑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코드 매핑 테이블을 별도로 작성
- 인터페이스 설계 내용을 검토하고 보완
2. 데이터 표준 확인
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개념
- 인터페이스를 위해 인터페이스가 되어야 할 범위의 데이터들의 형식과 표준을 정의하는 것
- 데이터의 공통 영역을 추출하여 정의 하는 경우와, 한쪽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경우가 있다
⑵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 상호 인터페이스 해야 할 모듈의 데이터 표준과 함께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같이 정의하고 산출물에 표현
-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데이터 포맷의 표준을 표현한다.
- 데이터 포맷은 Json, DB, XML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이 가능
⑶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절차
-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확인
-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확인
-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데이터 표준을 확인
'information proces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9.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2) (0) | 2022.06.27 |
---|---|
1-18.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1) (0) | 2022.06.27 |
1-16. 배치 프로그램 구현 (0) | 2022.06.26 |
1-15. 서버 프로그램 구현 (0) | 2022.06.26 |
1-14. 모듈 구현 (0) | 2022.06.26 |